- @참고(NodeJs + Express 로 웹서버 구축하기): https://velog.io/@goody/NodeJs-Express-%EB%A1%9C-%EC%9B%B9%EC%84%9C%EB%B2%84-%EA%B5%AC%EC%B6%95%ED%95%98%EA%B8%B0
1. NPM Project 시작하기
> npm init
2. NPM Projectdp express 의존성 추가하기
> npm install express --save //package.json에 해당 내용 save
3. Express 기반 웹서버 구동
- app.js 파일을 생성
// node_modules 에 있는 express 관련 파일을 가져온다.
var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// express 는 함수이므로, 반환값을 변수에 저장한다.
var app = express()
// 3000 포트로 서버 오픈
app.listen(3000, function() {
console.log("start! express server on port 3000")
})
> node app.js
(Optional) 4. 서버의 변경을 감지해 재시작 해주는 nodemon 설치
> npm install nodemon -g //컴퓨터 전체에 global install
> nodemon app.js
window11 환경에서 위 명령어로 실행시
'nodemon'은(는) 내부 또는 외부 명령,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, 또는
배치 파일이 아닙니다.
라고 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package.json에 추가해주었다.
> npm install nodemon --save-dev
- package.json 에 추가
...
"scripts": {
...,
"app": "nodemon ./app.js"
},
...
> npm run app
5. URL Routing 처리
- app.js
// request 와 response 라는 인자를 줘서 콜백 함수를 만든다.
// localhost:3000 브라우저에 res.send() 내부의 문자열이 띄워진다.
app.get('/', function(req,res) {
res.send("<h1>hi friend!</h1>")
})
- http://localhost:3000 접속